업투데이트

청약은 진짜 누구나 되는 거야? 점수제부터 당첨 현실까지 쉽게 알려드림 본문

카테고리 없음

청약은 진짜 누구나 되는 거야? 점수제부터 당첨 현실까지 쉽게 알려드림

"Up to date" 2025. 7. 19. 18:22
반응형

"청약은 무주택자한테 유리하다면서요?"
"점수제라는데, 난 점수가 몇 점인지도 몰라요."
"왜 청약은 맨날 되는 사람만 되죠?"

청약 제도는 분명 내 집 마련의 기회지만, 그 구조는 생각보다 복잡합니다. 특히 가점제라는 장벽은 20~40대에게 현실적인 좌절을 안겨주기도 하죠. 이 글에서는 가점제의 진짜 구조, 왜 내가 떨어지는지, 대안은 뭔지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1. 청약 가점제란 뭔가요?

청약 가점제는 말 그대로 점수가 높은 사람에게 우선권을 주는 방식입니다. 민영주택 중 전용 85㎡ 이하 일반공급 물량의 75%는 가점제로 선정합니다. 나머지 25%는 추첨제예요.

즉, 가점이 낮으면 거의 당첨이 불가능하다는 뜻이죠.


2. 가점 계산은 어떻게 하나요?

총점은 84점 만점, 아래 세 항목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항목점수 기준최대 점수
무주택 기간 1년마다 2점 (최대 15년) 32점
부양가족 수 본인 외 가족 수 × 5점 35점
청약통장 가입 기간 1년마다 1점 (최대 15년) 17점
 

예를 들어, 35세 직장인 A씨가

  • 결혼한 지 3년 차,
  • 아이 1명, 배우자 포함 3인 가족
  • 청약통장 7년 보유,
  • 무주택 기간 6년이라면?

👉 A씨의 가점은

  • 무주택 12점
  • 부양가족 10점
  • 통장 기간 7점 = 총 29점

29점으로 수도권 청약에 당첨될 확률은 거의 없습니다.


3. 현실은 몇 점부터 당첨되나요?

지역, 단지마다 다르지만 서울과 수도권 인기지역은 보통 60점 이상,
비인기 지역이나 지방은 40점대 후반~50점대 당첨도 있습니다.

즉,

  • 20대는 거의 추첨제 아니면 어렵고,
  • 30대는 결혼 + 아이 있어도 40점대,
  • 40대가 돼야 비로소 경쟁력 있는 점수가 나오는 구조죠.

4. 점수 낮으면 포기해야 하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추첨제나 특별공급을 노려야 해요.

  • 추첨제: 가점 상관없이 무작위 추첨.
    수도권은 물량 적지만, 가뭄에 단비 같은 기회.
  • 특별공급: 신혼부부, 생애최초, 다자녀, 노부모 부양 등.
    조건만 맞는다면 일반공급보다 훨씬 낮은 경쟁률.

예: 생애최초 특별공급은 무주택 + 일정 소득 이하라면 점수 상관없이 신청 가능.


5. 그래서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요?

  1. 가점 확인부터: ‘청약홈’에서 본인 점수 계산 가능
  2. 청약통장 유지: 오래될수록 유리 (해지 금물)
  3. 가족계획 + 무주택 유지: 점수 높이는 핵심
  4. 추첨제 물량 자주 확인: 수도권 외곽 단지도 포함
  5. 특별공급 조건 체크: 본인에게 맞는 전략 짜기


✅ 마무리하며

청약은 단순히 "집을 분양받는 제도"가 아닙니다.
**'당첨 확률을 높이는 전략 게임'**입니다.

가점제는 분명 불공정해 보일 수 있지만, 제도를 이해하면 분명히 기회가 보입니다.
"나는 안 될 거야"라는 생각보다 **"나는 어디에 유리할까?"**를 먼저 떠올리세요.

20·30·40대 누구에게나 공평한 건 정보력과 준비력뿐입니다.
당신도 그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Feedly로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