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투데이트

주변 사람들보다 1년만 먼저 성장하는 법 – 속도 조절 전략 본문

카테고리 없음

주변 사람들보다 1년만 먼저 성장하는 법 – 속도 조절 전략

"Up to date" 2025. 4. 13. 12:52
반응형

많은 사람들이 “빨리 가는 법”을 묻는다. 더 빠른 공부법, 더 빠른 투자, 더 빠른 성과.
하지만 정말 중요한 질문은 이거다.
“어떻게 더 오래, 꾸준히 갈 수 있을까?”

성장은 단거리 경주가 아니다.
진짜 승부는 ‘1년 이상 꾸준히 가는 사람’과 ‘중간에 멈추는 사람’ 사이에서 갈린다.
그리고 꾸준함의 핵심은 속도 조절 전략이다.

 


1. 시작은 가볍게, 리듬은 무겁게

사람들은 시작할 때 에너지를 몰아쓴다.
1주일 치 계획을 하루에 몰아서 하려 하고, 새벽 기상, 운동, 독서, 공부를 한 번에 세팅한다.
결과는 대부분 같아진다. 3일 후 탈진.

성공하는 사람은 다르게 시작한다.
시작은 가볍게, 대신 리듬은 무겁게 잡는다.
매일 조금씩 반복 가능한 수준으로 설정하고, 중요한 건 '지속성'이다.
1일 1시간씩 365일 공부한 사람과, 5일 몰아서 10시간 하고 한 달 쉬는 사람.
1년 후 격차는 극명하다.


2. 당장은 느려도 괜찮다는 확신

남들보다 속도가 느린 것 같을 때 불안해진다.
“내가 너무 느린 거 아냐?” “지금 이 속도로 괜찮을까?”

이때 필요한 건 실력보다 확신이다.
“나는 오래 갈 거니까, 지금 당장의 속도는 중요하지 않아.”
이 마인드가 있으면 조바심에서 벗어난다.

성장은 선형(linear)이 아니다.
성장은 보통 이렇다:

  • 처음엔 성과 없음 → 중간에 살짝 반응 → 1년쯤 지나야 눈에 보임.

눈에 보이지 않아도 계속 가는 사람만이,
남들이 1년 후 도달할 지점에 미리 도달해 있다.
그게 ‘1년 먼저 성장한 사람’이다.


3. 주 1회 ‘속도 점검’으로 방향 잃지 않기

열심히 달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방향을 자주 점검해야 한다.
매주 1번, 이런 질문을 해보자.

  • 지금 하고 있는 게 내가 원하는 결과로 연결되고 있나?
  • 혹시 열심히만 하고 있고, 방향이 틀어진 건 아닌가?
  • 지난주보다 나아졌다고 느끼는 부분이 있나?

속도 조절이란 단순히 ‘느리게 간다’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간다’는 뜻이다.


4. 쉬는 날도 전략이다

지속적인 성장은 회복력을 전략적으로 설계하는 사람에게 주어진다.
많은 사람들은 지칠 때 쉬고,
꾸준한 사람은 지치기 전에 쉰다.

쉬는 것도 미리 계획하자.

  • 주 1회 완전 휴식
  • 월 1회 리셋데이 (기록 정리, 방향 점검, 재설계)
  • 6개월마다 3일 이상 리프레시

지치기 전에 쉬는 사람만이 1년을 무너짐 없이 달린다.


5. ‘비교’ 대신 ‘기록’

비교는 동기를 줄 수 있지만, 쉽게 방향을 흐리게 만든다.
속도 조절 전략에서 비교는 독이다.
그 대신, 자신의 기록에만 집중하라.

  • 오늘 뭐 했는지
  • 지난주보다 얼마나 나아졌는지
  • 무엇이 잘 되고, 무엇이 잘 안 되는지

이 기록은 당신의 리듬을 만들어 준다.
그리고 기록이 쌓이면 ‘자신만의 성장 패턴’이 보인다.
그 순간부터, 누구와도 비교할 필요가 없다.


정리하면,

주변보다 1년만 먼저 성장하는 법은 이렇다.

  • ✔ 시작은 작게, 리듬은 꾸준히
  • ✔ 눈에 안 보여도 계속 가기
  • ✔ 주 1회 방향 점검
  • ✔ 회복력 설계하기
  • ✔ 비교 대신 기록에 집중

이 전략은 단순하지만, 강력하다.
남들은 올라갔다가 내려가고,
당신은 한 템포 느리게 올라가지만 내려오지 않는다.

그게 바로 **‘지속 성장형 인간’**이다.
그런 사람만이 결국 1년 먼저 도착하고,
그 1년이 인생을 바꾼다.

반응형
Feedly로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