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티스토리수익화
- 스마트스토어초보
- 여행꿀팁
- 티스토리수익
- 콘텐츠마케팅
- 생산성향상
- 성장하는삶
- N잡러
- 소액투자
- 블로그수익화
- 경제적자유
- 블로그글쓰기
- 부자되는법
- 글쓰기루틴
- 시간관리
- 재테크
- 스마트스토어
- 자산관리
- ETF투자
- 20대재테크
- 디지털노마드
- 성공습관
- 재테크전략
- 자기계발
- 블로그운영팁
- 부업추천
- 재테크초보
- 온라인수익
- 블로그로돈벌기
- 제휴마케팅
- Today
- Total
업투데이트
요즘 애들은 주식 대신 ○○에 돈 넣는다 ! 본문
한때, 주식은 MZ세대 재테크의 대명사였다.
하지만 2025년, 분위기는 다르다.
"주식? 그거 말고 다른 데 넣어."
이게 요즘 애들 대화다.
왜 바뀌었을까?
단순하다. 주식은 변동성이 너무 커졌기 때문이다.
세상은 불안하고, 주식장은 롤러코스터다.
한탕을 노리던 사람들은 이미 떨어져 나갔고,
남은 사람들은 ‘새로운 길’을 찾고 있다.
그들이 선택한 건 무엇일까?
대표적으로 P2P 투자, 조각 투자, 그리고 신흥 투자처들이다.
1. P2P 투자: 개인끼리 돈을 빌려주고 이자 받기
P2P(피투피) 투자는 쉽게 말해,
"은행을 통하지 않고 개인끼리 돈을 빌려주고 받는 것"이다.
플랫폼이 중간에 서서
돈을 필요한 사람과 투자자를 연결해 준다.
투자자는 일정 이자를 받고 돈을 굴린다.
요즘 인기 있는 이유?
수익률이 은행 예적금보다 높고,
변동성이 주식만큼 크지 않다.
물론 리스크도 있다.
상환이 늦어지거나 부실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요즘 애들은 '대출 심사 기준'까지 꼼꼼히 본다.
그냥 수익률 높은 데 무턱대고 넣지 않는다.
**"안전장치 없는 P2P는 거른다"**는 말도 있다.
2. 조각 투자: 명품, 미술품, 부동산을 '한 조각'만 산다
MZ세대는 더 이상 큰돈을 모아 부동산을 사지 않는다.
"조각"만 사서 투자한다.
예를 들어,
- 고가 명품 가방 한 개
- 유명 작가의 미술품
- 소형 부동산 매물
이걸 수백 명이 돈을 나눠서 투자한다.
소유권을 조각처럼 나눈다고 해서 '조각 투자'다.
장점은?
소액으로도 희귀 자산에 투자할 수 있다는 것.
초저금리 시대에 매력적인 대안이 됐다.
특히 미술품 조각 투자는 요즘 MZ사이에서 핫하다.
"그림 한 점 살 돈은 없지만, 지분은 가질 수 있다."
이 감성 때문이다.
투자면서, 동시에 '힙'한 소비로 느껴진다.
3. 신흥 투자처: 리셀, IP(지식재산권), 탄소배출권까지
진짜 신박한 곳에도 돈이 몰리고 있다.
- 한정판 스니커즈 리셀
- 웹툰·웹소설 IP 투자
- 탄소배출권 투자
이런 데다 과감히 돈을 넣는다.
예를 들어, 인기 있는 스니커즈를 선점해서
프리미엄 가격으로 되파는 리셀 투자.
혹은 인기 웹툰의 판권에 투자해서,
2차 콘텐츠 수익을 나누는 방식이다.
과거에는 기관투자자나 대기업만 접근 가능했던 분야다.
이제는 소액으로, 모바일 앱 하나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진입 장벽이 확 낮아졌다.
물론 여기에도 리스크는 있다.
시장이 식으면 가격이 떨어질 수도 있다.
그래서 요즘 애들은 이렇게 말한다.
"한 방 보지 말고, 분산해라."
왜 주식이 아닌가?
주식은 여전히 투자 수단이다.
하지만 MZ세대는 **'하나만 믿지 않는다'**는 쪽으로 진화했다.
- 수익률만 보지 않는다.
- 리스크를 나눈다.
- 재미와 취향도 고려한다.
재테크가 '돈 벌기'에서 '자산 놀이'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정리
- P2P 투자: 고수익 저변동, 그러나 리스크 관리 필수
- 조각 투자: 소액으로 희귀 자산 소유, 투자+소비의 중간
- 신흥 투자처: 리셀, IP, 탄소 시장 등 신개념 자산 등장
요즘 애들은 주식만 바라보지 않는다.
세상을 다양한 눈으로 보고, 다양한 곳에 돈을 넣는다.
그리고 하나 확실한 건,
**"재미없는 재테크는 안 한다"**는 거다.